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62

[2024년 4월 22일] 올림픽공원 - 힝둥새 등 오전을 멍하게 보내고는 바로 장비를 챙겨서 올림픽공원으로 향했다. 3월에서 4월이 되면서 만물이 소생한다는 표현이 딱 맞을 정도로 엄청난 변화가 있었다. 갑자기 숲이 정글이 돼 버리는 바람에 이제는 숲에 들어가면 어두컴컴하다. 꽃도 일제히 피고 나무들도 꽃과 잎이 폈으니 큰 변화는 한 번 겪은 셈. 이제 그다음 변화가 올 차례인데, 그 사이에 얼른 매크로 촬영을 연습해 둘 생각. 렌즈는 구입했고 플래시만 정하면 되는데 디퓨저와 연동할 만한 플래시를 아직 확정하지 못한 상태. 새벽까지 자료를 뒤지느라 잠을 못 자는 바람에 멍한 상태로 일단 천천히 공원을 둘러봤다. 어르신들의 해박한 야생화 이야기를 듣다 보면 시간이 훌쩍 지나간다. 들어도 들어도 재밌는 야생화 이야기는 언제 기회가 되면 정리해서 올려 보고 .. 2024. 4. 23.
[2024년 4월 21일] 올림픽공원 - 큰유리새 등 아내가 계속 몸이 안 좋다. 병원을 가도, 약을 먹어도 차도를 보이질 않으니 고민이 깊다... 너무 누워만 있는 거 같아 동네라도 한 바퀴 돌자고 했더니 나 때문인지 올림픽공원을 가자고 한다. 무리하는 거 같아 고민을 했지만 집에만 있는 거보다 잠깐 외출하는 게 좋을 수도 있겠다 싶어 함께 올림픽공원으로 향했다. 올림픽공원은 휴일이라 사람들이 꽤 있었는데 스포츠 축제 같은 걸 하고 있어서 시끌시끌했다. 같이 몽촌호수까지 둘러보고는 아내는 카페 가서 쉬고 있으라고 보내고 빠르게 공원을 돌아보기 시작! 정신없이 식물을 보다 보니 시간이 너무 흘렀다. 아직 반도 못 왔는데 너무 몰두했나 보다. 아내 몸상태가 어떤지 전화를 해 보니 괜찮다고 더 돌고 오라고 한다. 여기서 잠깐 고민... 더 돌 것이냐... 아내.. 2024. 4. 23.
[2024년 4월 19일] 올림픽공원 - 흰눈썹황금새 등 매일매일 새롭게 등장하는 식물을 보고 있자니 하루도 쉴 수가 읎다... 성장속도는 또 어찌나 빠른지... 하루 지나면 쑥! 하고 자라 있는 게 너무 신기하다. 오늘도 혹시 놓친 식물이 있나 올림픽공원을 둘러보러 출발! 이제 집에 가려는데 갑자기 아줌마 둘이 에워싸더니 뭔가를 쓱 내밀었다. 작은 건빵 봉투였는데, '예수 믿으세요' 하길래 '싫어요' 하고는 쓰레기통에 버려 버릴라다가 갑자기 생각나서 얘한테 몰아줬다. 이제 올림픽공원의 야생화는 거의 다 본 듯. 아직 나무들이 많이 남았는데 나무는 동정이 너무 어렵다. 전체 모습과 껍질, 잎 등의 사진이 필요한데 망원렌즈 하나로는 나무 동정은 어림도 없다. 지금 올리는 나무들은 이름표가 달린 나무들 뿐. 그나저나 땅만 보고 다니니까 새들을 볼 수가 없다. 중간.. 2024. 4. 22.
[2024년 4월 18일] 올림픽공원 - 흰눈썹황금새, 산솔새 등 요즘 사진 촬영이 너무 재밌다. 새를 보는 것도, 식물을 보는 것도 좋지만 사진 촬영이 너무 재밌는 게 문제. 이게 다 얼마 전에 새로 구입한 소니 300mm F2.8 단렌즈 때문이다. 이 렌즈 때문에 촬영하는 재미가 세 배는 좋아진 듯... 그러니 하루 쉬고 싶어도 자꾸 나가서 촬영하고 싶어지는 바람에 오늘도 쉬지 못하고 또 올림픽공원에 나오게 됐다. 애매한 시간이라 삼각김밥으로 점심을 대충 때우고 물가에 새로 핀 꽃이나 풀이 없나 살피면서 탐방 시작. 1년 만에 흰눈썹황금새를 다시 만났다. 작년 여름엔 암컷은 여러 번 봤는데 올공에서 수컷은 처음이다. 이렇게 코앞에서 만날 줄은 몰랐는데 사진을 찍으면서도 녀석들을 관찰하느라 정신이 없었다. 이제 왔으니 자주 볼 수 있을 듯!! 풀과 벌레를 찾느라 땅만.. 2024. 4. 22.
[2024년 4월 17일] 올림픽공원 둘러 보기 어제도 다녀온 올림픽공원을 늦은 오후에 잠깐 들러봤다. 컨디션 회복을 위해 오늘은 쉴까 싶었지만 더 지나기 전에 열심히 구멍 파던 쇠딱따구리 녀석이 어찌 지내는지도 볼 겸 간단히 성내천 쪽만 돌아볼 생각이었다. 항상 계획은 창대함... 어제 장다리물떼새를 봤던 곳으로 다시 가봤지만 안 보인다. 성내천으로 자리를 옮겼나 싶어서 성내천을 다 돌아봤지만 보이지 않았다. 잠깐 들렀다가 간 모양. 잘됐다 환경 좋은 곳에서 잘 지내기를... 정작 중요한 쇠딱따구리 둥지는 못 찾음. 2주 전엔 잎이 하나도 없었는데 갑자기 정글이 돼 버리는 바람에 도저히 위치를 찾을 수가 없었다. 근처에서 쇠딱따구리 소리가 들리긴 했지만 나뭇잎이 빼곡해서 보이지도 않음. 차라리 잘 됐다 아무도 못 찾는데서 육추 잘하기를... 이렇게 .. 2024. 4. 22.
[2024년 4월 16일] 올림픽공원 - 장다리물떼새 등 무더운 오후에 새로운 식물이 있나 둘러보러 올림픽공원을 다녀왔다. 분명 어제 지난 곳인데도 새로운 녀석이 보이는 걸 보면 내가 못 찾은 것이거나 아니면 그새 자란 거... (진짜 자라는 속도가 장난 아님...) 어슬렁어슬렁 거리며 땅만 보고 돌아다니는데 박새 녀석 하나가 부산을 떨고 있었다. 고양이 사료 먹다가 고양이한테 된통 당할까 걱정. 한 번 맛 들이면 다른 거 못 먹을 텐데... 그렇게 몽촌호수를 시계 방향으로 한 바퀴 돌면서 물가의 풀과 벌레를 찾아보고 있었는데, 호수 중간에 섬처럼 띄워 놓은 갈대섬에 오리들과 섞여 있는 이곳과 안 어울리는 녀석이 보였다. 장다리물떼새를 보고 있는데 스와로 쌍안경을 멘 외국인 할아버지가 와서는 기웃거린다. 순간 스티븐 아저씨인 줄... 손가락으로 장다리물떼새를 .. 2024. 4. 21.
점나도나물 (Cerastium holosteoides) 점나도나물 (Cerastium holosteoides) 점나도나물은 석죽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전 지역과 중국, 일본, 대만 등 냉온대에서 난온대의 농촌 밭 언저리, 논두렁, 경작지 길가, 제방, 모래자갈땅, 양지 등에 자생하는 식물이다. 분류 목: 석죽목 과: 석죽과 특징 잎: 쥐의 귀모양을 닮았고 검은 자줏빛이 돌며, 잎의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잔 털이 있다. 꽃: 4월에서 6월에 걸쳐 흰색으로 취산꽃차례에 달리고 꽃이 진 다음 작은 꽃줄기 끝이 밑으로 굽는다. 열매: 연한 노란색을 띤 갈색으로 길이가 9mm 정도. 기타 정보 효능: 점나도나물은 열을 내려주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어서 감기, 유선염, 피부염, 종기 등에 사용. 부작용과 주의사항: 맛이 쓰고 성질이 약간 차서 몸이 찬.. 2024. 4. 21.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Bunge)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Bunge) 박태기나무는 콩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중국이 원산지이다.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자라며, 봄에 아름다운 자주색 꽃을 피우는 것으로 유명. 분류 목: 콩목 과: 콩과 특징 잎: 어긋나며 심장형이고, 지름이 6-11cm로 표면은 윤기가 나며, 뒷면 맥 아랫부분에 잔털이 있다. 꽃: 4월 하순에 잎보다 먼저 피며, 길이 1.2-1.8cm로 홍자색이며, 우상모양꽃차례를 이루고, 꽃대가 없으며 작은꽃대의 길이는 6-15mm이다. 열매: 협과의 길이는 7-12cm로, 긴 타원형이며 한쪽에 3개의 좁은 날개가 있고, 종자는 황록색으로 편평하고 타원형이며, 8-9월에 성숙. 줄기: 밑에서 몇 개의 줄기가 올라와 포기를 형성하며, 나무껍질은 회갈색... 2024. 4. 20.
종지나물 (Viola papilionacea) 종지나물 (Viola papilionacea) 종지나물은 제비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미국에서 건너온 귀화식물이다. 이름처럼 종지 모양의 잎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색상의 꽃을 피운다. 분류 목: 제비꽃목 과: 제비꽃과 특징 잎: 밑동에서 솟아나며, 잎자루가 잎몸보다 길고, 종지 모양의 심장형이며, 끝이 약간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자색, 흰색, 황록색이 섞인 꽃을 4~5월에 피우며, 열매는 긴 타원형으로 녹색 또는 검은 자주색이고, 씨는 검은 갈색. 생태: 미국제비꽃이라고도 불리며, 해방 직후 미국에서 건너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4. 4. 20.
라일락 (Syringa vulgaris) 라일락 (Syringa vulgaris) 라일락은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발칸 반도가 원산지. 다양한 색상의 아름다운 꽃과 달콤한 향기로 유명하다. 라일락 꽃향기 맡으며~♪ 분류 목: 현삼목 과: 물푸레나무과 특징 잎: 마주나며 달걀 모양, 털이 없고 광택이 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꽃: 4~5월에 피며, 연보라색이 기본이나 진한 보라색, 흰색, 붉은색 등의 꽃을 피우는 원예품종들이 있다. 꽃에서 나는 향기가 좋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관상수. 크기: 약 6m까지 자라며, 가지는 많이 갈라져 넓게 퍼진다. 기타 정보 꽃말: 첫사랑, 젊은 날의 추억, 우정, 사랑의 싹이 트다(보라색 라일락), 친구의 사랑(붉은색 라일락), 아름다운 맹세(흰색 라일락) 용도: 향수나 섬유 유연제 .. 2024. 4. 20.
수양버들 (Salix babylonica) 수양버들 (Salix babylonica) 분류: 목: 말피기목 과: 버드나무과 속: 버드나무속 종: 수양버들 특징: 낙엽성의 작은 활엽교목. 잎은 피침형으로 어긋나 자라며, 잎의 끝에는 잔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10미터에서 25미터까지 자라며, 줄기가 축 늘어지는 것이 특징. 수양버들의 뒷면은 분처럼 희며, 이른 봄에 새잎이 나면서 꽃이 피고, 수꽃은 황색. 생육 환경: 중국 중남부가 원산지로, 강변이나 연못의 가장자리 등 습지에 주로 서식. 세계 도처에 식재되며, 한국에는 이미 통일신라 시대 때 들어와 전국 곳곳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이용 방안: 류머티스, 황달, 화상, 습진 등을 다스리는 데 효과가 있으며, 신경통, 치통 등 통증의 진통에도 사용된다고 함. 가로수, 목재로 이용되며, 여러 문화와.. 2024. 4. 20.
제비꽃 (Viola mandshurica) 제비꽃 (Viola mandshurica) 분류: 목: 말피기아목 과: 제비꽃과 속: 제비꽃속 종: 제비꽃 특징: 자연의 소박한 아름다움 자연의 보석: 제비꽃은 마치 숲속에 숨겨진 보석처럼, 작고 소박한 모습으로 우리를 매혹함. 봄의 전령: 봄이 오면 가장 먼저 꽃을 피워, 새로운 계절의 시작을 알린다. 색의 다양성: 다양한 색상을 지니고 있어, 자연의 풍부한 색채를 선사한다. 향기의 선물: 은은한 향기를 가지고 있어, 봄날의 정원을 더욱 향기롭게 만든다. 생육 환경: 견고한 생명의 터전 다양한 서식지: 산과 들, 길가 등 다양한 환경에서 잘 자라는 강인한 식물. 환경 적응력: 다양한 기후 조건에 잘 적응하며, 그로 인해 널리 퍼져 있다. 이용 방안: 일상 속의 작은 기쁨 정원의 작은 친구: 제비꽃은 정.. 2024. 4. 20.
[2024년 4월 13일] 올림픽공원 탐조 맑은 날이 이어지고 있는 주말이다. 아내가 몸이 아파 집에 있을까 했는데 얼른 나갔다 오라고 등을 떠미는 바람에 나오기는 했지만 혼자 멀리 다녀오기도 그렇고... 갈데없으면 올림픽공원이다. 풍경 사진을 별로 찍지 않았는데, 요즘은 300mm 단렌즈에 2배 텔레컨버터를 사용하다 보니 메인 카메라로 풍경을 찍기는 거의 불가능. (이럴 땐 줌 렌즈가 편하다.) 그래서 똑딱이 카메라를 하나 더 들고 다녔는데 오늘은 꺼내기도 귀찮... 주말이라 사람이 많을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조용한 공원을 물가 위주로 살짝 돌아봤다. 서산 탐조 이후 종마다 마릿수 세고 기록하던 걸 중단했는데 허전할 줄 알았더니 개편함. 그래도 관찰 기록은 중요하니까 앞으로는 단축해서 관찰한 종만 기록할 생각. 마릿수는 사실 큰 단위로만 적으면.. 2024. 4. 15.
[2024년 4월 12일] 올림픽공원 탐조와 새로운 탐조 방식 고민 엊그제 서산에서 입은 내상이 아직 치유되지 않은 상태에서 올림픽공원을 다녀왔다. 아오... 망할 도요들... 다리 때문에 쉬었어야 했지만 새로운 방식으로 탐조를 해보기 전에 생각을 정리할 필요가 있었다. 뭐 대단한 건 아니고, 지금처럼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발견되는 모든 새를 촬영하고 기록하는 방식은 이제 슬슬 질리기 시작. 이 방식도 아예 안 할 수는 없겠지만 시민 과학 활동은 접을 생각이라 당분간 기록보다는 관찰에 더 치중할 계획이다. 개인적으로는 박새만 봐도 좋지만 그것도 하루 이틀이지, 블로그나 네이처링에 맨날 똑같은 장소에 똑같은 새 사진을 올리는 것도 사실 민망하다. 이제는 목표 종을 정해 놓고 그 종을 찾아볼 생각인데, 매번 탐조를 나갈 때마다 목표 종을 찾을 순 없을 테니 그 사이에 식물.. 2024. 4. 15.
[2024년 4월 10일] 서산, 화성호 탐조 서울의새 선생님들과 서산과 화성호로 도요물떼새를 보러 다녀왔다. 원래 계획은 화성호 주변을 돌아보고 오후 5시에 만조인 매향리 갯벌에서 도요새를 볼 예정이었는데, 그걸 굳이 서산 갯벌이 훨씬 넓고 도요도 더 많은데 쥐콩만한 매향리에서 왜 보냐고 내가 조동아리를 잘못 놀리는 바람에 서산행으로 결정. 만조는 오후 5시라 그전에 근처에서 탐조를 하기로 했는데 도착한 곳은 '검은여'라는 곳이었다. 의상대사와 선묘 낭자의 설화가 있는 곳이라는데 설화 같은 건 관심 없고 검은 돌이 신기하긴 했다. 검은여 건너편의 무논이 탐조 포인트. 무논 사이에 20여 미터 정도의 넓은 수로가 있었는데, 문제는 무논에 있는 대상들의 거리가 최소 50m에서 300m에 이르기 때문에 작은 새들은 보이지도 않는다는 거. 촬영은 그냥 확.. 2024.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