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나도나물 (Cerastium holosteoides)
점나도나물 (Cerastium holosteoides) 점나도나물은 석죽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전 지역과 중국, 일본, 대만 등 냉온대에서 난온대의 농촌 밭 언저리, 논두렁, 경작지 길가, 제방, 모래자갈땅, 양지 등에 자생하는 식물이다. 분류 목: 석죽목 과: 석죽과 특징 잎: 쥐의 귀모양을 닮았고 검은 자줏빛이 돌며, 잎의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잔 털이 있다. 꽃: 4월에서 6월에 걸쳐 흰색으로 취산꽃차례에 달리고 꽃이 진 다음 작은 꽃줄기 끝이 밑으로 굽는다. 열매: 연한 노란색을 띤 갈색으로 길이가 9mm 정도. 기타 정보 효능: 점나도나물은 열을 내려주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어서 감기, 유선염, 피부염, 종기 등에 사용. 부작용과 주의사항: 맛이 쓰고 성질이 약간 차서 몸이 찬..
2024. 4. 21.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Bunge)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Bunge) 박태기나무는 콩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중국이 원산지이다.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자라며, 봄에 아름다운 자주색 꽃을 피우는 것으로 유명. 분류 목: 콩목 과: 콩과 특징 잎: 어긋나며 심장형이고, 지름이 6-11cm로 표면은 윤기가 나며, 뒷면 맥 아랫부분에 잔털이 있다. 꽃: 4월 하순에 잎보다 먼저 피며, 길이 1.2-1.8cm로 홍자색이며, 우상모양꽃차례를 이루고, 꽃대가 없으며 작은꽃대의 길이는 6-15mm이다. 열매: 협과의 길이는 7-12cm로, 긴 타원형이며 한쪽에 3개의 좁은 날개가 있고, 종자는 황록색으로 편평하고 타원형이며, 8-9월에 성숙. 줄기: 밑에서 몇 개의 줄기가 올라와 포기를 형성하며, 나무껍질은 회갈색...
2024. 4. 20.
종지나물 (Viola papilionacea)
종지나물 (Viola papilionacea) 종지나물은 제비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미국에서 건너온 귀화식물이다. 이름처럼 종지 모양의 잎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색상의 꽃을 피운다. 분류 목: 제비꽃목 과: 제비꽃과 특징 잎: 밑동에서 솟아나며, 잎자루가 잎몸보다 길고, 종지 모양의 심장형이며, 끝이 약간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자색, 흰색, 황록색이 섞인 꽃을 4~5월에 피우며, 열매는 긴 타원형으로 녹색 또는 검은 자주색이고, 씨는 검은 갈색. 생태: 미국제비꽃이라고도 불리며, 해방 직후 미국에서 건너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4. 4. 20.
라일락 (Syringa vulgaris)
라일락 (Syringa vulgaris) 라일락은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발칸 반도가 원산지. 다양한 색상의 아름다운 꽃과 달콤한 향기로 유명하다. 라일락 꽃향기 맡으며~♪ 분류 목: 현삼목 과: 물푸레나무과 특징 잎: 마주나며 달걀 모양, 털이 없고 광택이 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꽃: 4~5월에 피며, 연보라색이 기본이나 진한 보라색, 흰색, 붉은색 등의 꽃을 피우는 원예품종들이 있다. 꽃에서 나는 향기가 좋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관상수. 크기: 약 6m까지 자라며, 가지는 많이 갈라져 넓게 퍼진다. 기타 정보 꽃말: 첫사랑, 젊은 날의 추억, 우정, 사랑의 싹이 트다(보라색 라일락), 친구의 사랑(붉은색 라일락), 아름다운 맹세(흰색 라일락) 용도: 향수나 섬유 유연제 ..
2024. 4. 20.
수양버들 (Salix babylonica)
수양버들 (Salix babylonica) 분류: 목: 말피기목 과: 버드나무과 속: 버드나무속 종: 수양버들 특징: 낙엽성의 작은 활엽교목. 잎은 피침형으로 어긋나 자라며, 잎의 끝에는 잔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10미터에서 25미터까지 자라며, 줄기가 축 늘어지는 것이 특징. 수양버들의 뒷면은 분처럼 희며, 이른 봄에 새잎이 나면서 꽃이 피고, 수꽃은 황색. 생육 환경: 중국 중남부가 원산지로, 강변이나 연못의 가장자리 등 습지에 주로 서식. 세계 도처에 식재되며, 한국에는 이미 통일신라 시대 때 들어와 전국 곳곳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이용 방안: 류머티스, 황달, 화상, 습진 등을 다스리는 데 효과가 있으며, 신경통, 치통 등 통증의 진통에도 사용된다고 함. 가로수, 목재로 이용되며, 여러 문화와..
2024. 4. 20.
![](https://clearoutside.com/forecast_image_large/38.27/127.17/forecast.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