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동사니

[2025년 3월 11일] 2024년도 국가생물종목록에 추가된 조류 목록

by 두루별 2025. 3. 20.

좀 지난 일이지만 2024년도 국가생물종목록이 공개됐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가능)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국가생물종목록은 우리나라가 관리하고 있거나 관리가 필요한 모든 생물종을 대상으로 합니다. 기관, 학계, 그리고 일반사용자들이 혼동하여 사용하고 있는 각 생물종의 학명(정명, 동종이명),

species.nibr.go.kr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매년 최신 종목록을 정리해서 공개하고 있다. 포유류, 파충류, 조류 등 모든 분류의 목록이 포함되는데, 큰 변화가 없던 조류가 올해는 50종이나 추가되면서 602종이 되었다. (올해 최다 증가는 균류로 470종 추가)

2023년도 조류 목록은 552종이었는데 50종이 추가되면서 602종이 되었지만, 의심병 환자인 나는 데이터를 직접 확인했고(귀찮아서 코딩은 ChatGPT 시켰음) 추가된 50종 중에서 17종이 중복된다는 걸 확인. 결국 33종이 추가된 것으로 봐야하므로 최종적으로 조류는 585종으로 확인됐다.

신규 추가된 조류 33종은 다음과 같다. (오름차순 정렬)

갈색머리갈매기
검은턱할미새
넓은이마홍때까치
노랑배솔새
대백로
바다매
바위양진이
백할미새
북방긴발톱할미새
붉은배멋쟁이새
뿔바다오리
섬촉새
섬휘파람새
솔새
쇠덤불개개비
시베리아알락할미새
연노랑허리솔새
작은동박새
재색멋쟁이새
진홍때까치
큰부리바람까마귀
큰부리큰기러기
큰솔새
툰드라매
푸른머리되새
푸른바다직박구리
홍때까치
흰눈썹긴발톱할미새
흰눈썹북방긴발톱할미새
흰머리오목눈이
흰이마알락할미새
흰참매
흰허리큰뒷부리도요

가장 많이 추가된 건 할미새 종류로 7종이나 추가되었다. 그 외 대백로, 큰부리큰기러기, 흰머리오목눈이 같이 종분류가 됐던 종들도 드디어 추가가 되면서 이제는 흰머리오목눈이를 오목눈이라고 부르지 않아 된다.

근데 할미새를 죄다 추가해 주는 바람에 이제 더 이상 알락할미새로 대충 퉁치던 시대는 갔다는...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