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체사진/Deep-sky

[2020년 2월 29일] IC 2177 - Seagull Nebula

by 두루별 2020. 3. 1.

2020-02-29 22:18(KST) @ Hwacheon-gun, Gangwon-do, South Korea 
Takahashi FSQ-106ED + QE 0.73X, Canon EOS Ra, RainbowAstro RST-150H
Baader H-Alpha 3.5nm
Takahashi GT-40(240mm F/6.0), ZWO ASI290MM Mini, ASIAIR
20x3min @ ISO-3200, AWB, F/3.7, DSS 4.1.1, Photoshop CC 2020

정말 천만년만의 출사였습니다. 어떻게 주말만 되면 구름이 몰려오는지 신기하기까지 하네요.

초저녁부터 맑다는 예보만 믿고 오후 늦게 조경철 천문대로 달려갔습니다. 주말이라 사람이 많을 거 같았지만 요즘 유행하는 '코로나 19' 때문에 좀 한가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있었고요. 전날 온 눈이 살짝 신경 쓰였는데 낮까지 '진입금지'였던 상황이 출발 이후에 다행히 '진입 주의'로 바뀌었습니다. 

도착해 보니 주말답게 아래 주차장은 이미 꽉 차 있었고 신기하게도 정문 주차장이 비어있었습니다. 얼른 자리를 잡고 장비를 설치! 오랜만이라 버벅버벅... 이래서 연습이 필요한 건데 가끔 있는 이벤트다 보니 실력이 늘지를 않습니다...

열심히 관측과 촬영 중인 별지기들

스타 얼라인을 하면서 가이드 아이피스로 별을 보니, 세상에!!! 이렇게 완벽한 별상은 정말 오랜만입니다!!!

피커링 척도(Pickering scale)까진 모르겠지만 제 기준으로도 엄청나게 좋은 시상이었습니다. 달이 떠 있는데도 시상이 이렇게 좋다니 신기할 정도였습니다. 이런 날 행성 촬영을 하면 정말 좋았겠다 싶더군요.

환한 달 밤에 열심히 촬영 중

최근에는 ASIAIR를 사용해서 가이드를 했습니다만, 새로 들인 EOS Ra를 ASIAIR가 지원하지 않는 바람에 이날은 다시 M-GEN II 오토 가이더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비냉각 카메라는 디더링(Dithering)이 중요한데 카메라 제어를 ASIAIR가 해주지 않으면 디더링을 할 수 없기 때문이죠. '디더링'이라는 게 별거는 아니고 매 촬영 시마다 정해진 픽셀 범위 안에서 '무작위 위치로 이동(Random Displacement)'을 하는 겁니다. 이렇게 하면 동일한 픽셀에 동일한 위치가 촬영되지 않기 때문에 배경의 패턴 노이즈를 많이 줄일 수 있거든요.

그런데 이 M-GEN II란 오토 가이더가 초점거리 240mm인 GT-40 가이드 망원경에서 별을 찾지를 못하네요. 이리저리 설정도 바꾸고 해 봤지만 실패... 쓸데없이 시간만 낭비했습니다. 할 수 없이 디더링을 포기하고 ASIAIR로 가이드를 진행했습니다. 바람도 없고 시상이 좋으니까 가이드 그래프가 가운데에 착 붙어서 가더군요. 디더링에 상한 마음을 보상받았습니다. ㅎㅎ

RMS 0.57"는 처음 보는 값이었습니다. 1" 이하로 낮춰보려고 그렇게 노력할 때는 안되더니 시상이 좋으니까 값이 바로 좋아지네요. 가이드 별의 FWHM도 1.52가 나옵니다. 레인보우 아스트로社의 정 선생님 말씀처럼 가이드는 정말 시상에 크게 좌우되네요. 오토가이드는 더 테스트할 것도 없겠습니다. '시상이 좋으면 가이드도 좋다.'입니다...

촬영 결과를 봐도 별이 구석구석 동글동글 한 것이 가이드가 아주 잘 됐습니다. 맨날 길쭉한 별 때문에 마음고생한 것이 허무하네요. 이제 앞으로 바람 불 땐 그냥 눈으로만 별을 보는 것으로...

이날 처음 사용한 EOS Ra도 캐논에 익숙해서 다루기 쉽고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예상대로 EOS 6D Mark II와 크게 다르지 않은 성능인 거 같습니다. 비냉각은 거기서 거기겠죠. 다만 라이브 뷰 30배 확대 기능은 정말 편리하네요. 라이브로 보면서 초점을 맞추니까 초점 조절도 순식간에 끝났습니다. 액정이 커서 더 보기 쉬운 것도 있었고요.

그 외 다른 차이라고는 필터를 개조한 EOS 6D Mark II는 우측 하단의 별이 항상 늘어졌었습니다. 개조하면서 생긴 문제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Tilt 어댑터를 사용해서 보정을 해야겠다고 생각했었는데, EOS Ra는 구석구석 동글동글한 별 상을 보여줬습니다. (순정과 사제(私製)의 차이일까요?) 

이날 화이트 밸런스를 Auto로 놓고 촬영하는 바람에(ㅠㅠ) 색감을 논할 수는 없을 거 같습니다. 어차피 H-Alpha 촬영이라 흑백으로 현상하겠지만 색감이나 배경색 등은 다음에 몇 번 더 촬영하고 판단해야 할 거 같습니다. 딱히 더 좋다고 느낀 부분은 많지 않아서 처음 촬영을 해 보고 느낀 것은 이게 다네요.

이날 촬영 대상은 외뿔소자리(Monoceros)의 갈매기 성운(IC 2177)이었습니다. 이전 출사의 테스트 촬영에서 3분 노출로도 꽤 잘 보이길래, 이번에도 3분 노출로 촬영했더니 노출 부족으로 갈매기의 형체가 나오다 말았네요.ㅠㅠ 정면에 달도 떠 있고 3.5nm의 협대역 필터를 사용하는데 동일한 노출을 주다니... 바보도 아니고...

뭐 괜찮습니다~ 부족한 건 더 찍어서 합치는 것으로~ ^^;;; (쿨하게 패쓰!)

자정이 넘으니 구름이 슬슬 몰려오는 것이 지평선 부근은 이미 구름으로 초만원...

더 이상 촬영은 무리여서 구름이 다 덮기 전에 다음에 촬영할 대상의 테스트 촬영을 해 봤습니다. 바로 M81과 M82가 그 주인공!

보데(Bode)와 시가(Cigar) 은하로 불리는 워낙 유명한 대상이죠. 제 장비는 은하용 장비가 아니고 광시야 장비라 작은 은하는 찍어도 별로 볼 게 없겠지만 워낙 밝고 유명한 대상이라 한 번 도전해 보기로 했습니다. 

협대역 필터와 감속기를 제거하고 직초점 상태에서 ISO-12800, 노출 32초로 어떻게 보이나 촬영했더니... 에게게~~ 아이고 귀엽습니다~!! (무보정 원본입니다.)

테스트 촬영이라고 너무 대충 했는지 삼각대를 발로 차는 바람에 위치가 우측 하단으로 밀렸지만 M81, M82라고 충분히 알아볼 정도로 찍혔습니다. M82의 붉은색도 잘 보이는군요! 정말 재밌는 대상이네요. 벌써 다음이 기다려집니다.

갈매기는 이제 너무 고도가 낮아서 올 겨울에 다시 보기로 하고, 당분간은 이 은하 친구들을 촬영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