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1150 [2010년 9월 15일] 목성과 천왕성 2010.09.15 21:40(KST) @ Guro-ding, Guro-gu, Seoul, Korea WilliamOptics FLT98CF(D=98mm fl=618mm F/6.3), Takahashi EM-11 Temma2 Jr. Nikon Coolpix 4500 (1/8sec x 65장 합성, F/5.8, ISO-100, W/B: Sunny) Televue Powermate x2.5 + Pentax XL14mm Afocal 흐리멍텅한 목성이다. 전혀 세부가 살아나지 않는다. 구경의 한계도 있지만 2인치 액정에서 목성의 초점을 정확하게 맞추지 못하고 있다. 급하게 찍느라 초점 확인용 사진을 몇장 찍지않고 바로 촬영에 들어가서 더 한심한 사진이 되어버렸다. 동영상이 아닌 한장 한장 촬영된 사진을 합성해서.. 2010. 9. 16. [2010년 9월 14일] 월령 6일의 달 2010-09-14 20:31 KST @ Guro-dong, Guro-gu, Seoul, Korea Seeing: 1/10, Transparency: 1/5 WilliamOptics FLT98CF(D=98mm FL=618mm F/6.3), Takahashi EM-11 Temma2 Jr. Nikon Coolpix 4500 (1/8sec, F5.5, ISO 200, WB: Daylight) Pentax XL14mm Afocal 안개가 낀것 처럼 습도가 많은 대기는 뿌옇게 보였고 바람도 심하게 불었습니다. 비가 멈춘 뒤라 달과 목성만 보이는 하늘이었지만 촬영을 해 보았습니다. 달 앞을 지나가는 옅은 구름들이 촬영에 방해를 하는 등 확대율을 올리는 건 무의미 해 보였습니다. 북극성도 보이지를 않아 적도의도 대충.. 2010. 9. 15. [2010년 9월 3일] 목성 2010.09.03 21:44(KST) @ Guro-ding, Guro-gu, Seoul, Korea WilliamOptics FLT98CF(D=98mm f=618mm F/6.3), Takahashi EM-11 Temma2 Jr. Nikon Coolpix E4500 (1/8sec, F/5.8, ISO-200, W/B: Sunny) Televue Powermate 2.5x + Pentax XL14mm Afocal 꽤 오랜만에 구름 사이로 푸른 하늘이 보였다. 밤에도 맑기를 바라며 저녁식사 후 올려다 본 하늘은 구름이 옅게 끼어있는 썩 좋은 상황은 아니었다. 하지만 꽤 오래도록 별을 보지못해서 구름 사이로 잠시 관측이 가능하다면 관측을 해 볼 생각이었다. 평소와 달리 오늘은 적도의를 사용해보기로 한다. 목성.. 2010. 9. 6. 촬영 장비 소개 수정 : 2021년 11월 3일 1. 경통(OTA) * Takahashi FSQ-106ED : 2019년 3월에 구입했습니다. 일본 다카하시社에서 제작한 구경(口徑) 106mm f/5.0 Petzval 경통으로 '화각 10도 이상에 걸쳐 완전한 Flat field를 실현합니다.'라고 광고와 매뉴얼에 적혀있었고 실제 촬영해 보니 완전 거짓말은 아닌 거 같습니다. 자동차의 연비가 리터당 13km라는 광고와 비슷한 느낌... 사실 성능으로는 특별히 설명을 할 필요가 없는 경통이죠. 사진용으로는 다들 인정하는 경통입니다. (칭찬은 생략) 단점으로는 경통이 온도 변화에 아주 민감해서 냉각이 된 후에도 초점을 자주 확인해 주어야 합니다. 기온이 섭씨 1도만 변해도 초점이 변하는 것이 느껴집니다. 기온 변화에 맞춰 .. 2010. 9. 2. PolarisCE : Windows mobile용 북극성 위치 보기 일전에 심심풀이로 만들었던 윈도우용 북극성 위치 보기 프로그램을 Windows Mobile 용으로 포팅하였다. 최근 구입한 Takahashi EM-11 적도의 극축을 설정하기 위해 만들었고, 나에게는 요긴하게 쓰일것이다. 사용방법은 간단하다. "Location" 메뉴를 이용해서 자신의 경도(Longitude)만 설정해 주면 된다.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이 극축 망원경으로 본것과 비슷한 화면이 나온다. Reticle의 짧은 선은 5도, 긴선은 15도 단위로 표시되어 있다. 극축 망원경으로 본 시야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하좌우가 반대이며 아래쪽이 0시 위쪽이 12시다. 시스템의 현재 시간을 읽어서 지방항성시를 계산하여 지방 시간각(LHA: Local Hour angle)을 구한뒤 해당 위치에 작은 하.. 2010. 9. 2.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