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56

[2018년 8월 18일] 계획에 없던 조경철 천문대 방문 지난주에 방문했던 조경철 천문대를 1주일 만에 다시 찾았습니다. 구름 예보가 있었는데도 그냥 무작정 달려왔습니다. 이날은 정말 개인적으로 머리가 아픈 일이 있었던 날이었는데요. 계획도 없이 도착한 이곳은 언제나처럼 조용히 별빛을 쬘 수 있었습니다. 꼭 촬영을 하지 않아도 별쟁이 들에겐 별빛 쬐는 게 최고의 힐링이지요. 구름이 몰려오는 천문대는 조용하더군요. 이런 날에 왜 왔는지 모르지만 먼저 와있던 후배 녀석은 유성을 담으려고 끙끙거리고 있었습니다. 마차부자리가 황소자리와 함께 동쪽 하늘에서 올라오기 시작합니다. 정말 곧 오리온이 보이겠습니다. 바람도 심하게 불어 무척 쌀쌀했습니다만 머리 식히기에는 이만한 곳이 없습니다. 1시간 반을 달려온 곳이지만 30분 정도 머물다 후배를 뒤로하고 돌아왔습니다. 유일.. 2018. 8. 18.
[2018년 8월 11일] FSQ-85EDP 첫 촬영과 안드로메다 은하(M31) 2018-08-11 01:20(KST), Hwacheon-gun, Gangwon-do, South Korea Takahashi FSQ-85EDP + QE 0.73x, Canon EOS 6D Mark II, RainbowAstro RST-150H 60x30sec @ ISO3200, F/3.9, Photoshop CS3 FSQ-85EDP 경통 테스트를 위해 화천을 다녀왔습니다. 낮에는 구름이 가득했지만 밤늦게 갠다는 예보만 믿고 100km를 달려 도착한 조경철 천문대는 벌써 많은 분들이 와 계셨습니다. 하늘도 예보대로 구름이 완전히 걷히고 쏟아지는 별빛과 은하수… 그리고 수많은 유성을 볼 수 있는 밤하늘이었습니다. 조용히 자리를 잡고 아직도 손에 익지 않는 RST-150H 적도의를 Align 하느라 1시간여.. 2018. 8. 12.
[2018년 6월 18일] 월령 4.7일의 달 2018-06-18 22:01(KST) Yeoksam-dong, Gangnam-gu, Seoul, South Korea Seeing : 3/10, Transparency : 5/10 Vixen VMC110L, Vixen PortaⅡ Alt-Az Mount, Sony A7M3 1 x 1/50sec @ ISO1250 (WB: Daylight), Photoshop CS3 Moon Info. : Phase: 29.3%, Alt: 21° Az: 270° 6월에 촬영한 달입니다만 뒤늦게 올려봅니다. 소니A7M3로 두 번째 촬영한 달입니다. 고도가 낮아서 일렁거림이 심했지만 소니 카메라는 초점을 맞추기 편리한 기능들이 있어서 좋더군요. 도심의 광해에 묻히기 전에 아슬아슬하게 촬영을 했습니다. 고도가 좀 높을 때 촬영.. 2018. 6. 19.
[2018년 6월 16일] 조경철 천문대와 안드로메다 은하 처음으로 화천 광덕산에 있는 조경철 천문대를 다녀왔습니다. 홍천보다 가까운 거리지만 꼬불꼬불한 산길로 한 참 가야 하는 곳에 있어서 시간은 홍천보다 더 걸리네요. 천문대로 올라가는 길은 펜션과 음식점이 즐비해서 유원지 느낌이었고 산 정상의 천문대에 도착해 보니 주위에 대도시가 없는데도 꽤 밝은 마을들이 있어서 광해가 제법 심했습니다. 처음 온 곳이라 어디서 촬영을 할까 싶어 천문대 주위를 둘러보았는데요. 기상 레이더가 있는 남쪽은 불이 너무 밝은 데다 별을 보러 오신 수많은 분들이 계셨습니다. 레이져를 쏘며 별을 보는 분들이 많아서 이쪽에서 촬영은 안 되겠다 싶더군요. 천문대 북쪽 주차장은 바람이 좀 심하게 불었지만, 북쪽과 동쪽이 뚫려있어서 다행히 촬영을 할 수 있었습니다. 자리를 정하고 주섬주섬 장비.. 2018. 6. 18.
Lonely Speck의 SharpStar2 (출처 : https://www.lonelyspeck.com/sharpstar) 망원경이나 카메라 렌즈를 사용해서 성야(星野) 사진이나 일주(一周) 사진을 찍어 본 적이 있는 분들은 별에 초점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는 걸 아실 겁니다. 그나마 아래 사진의 렌즈처럼 무한대 표시(∞)가 있는 렌즈라면 무한대 표시 부근에서 초점을 찾으면 되지만 표시가 없는 렌즈는 초점을 찾는데 많은 시간을 허비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워낙 미세한 차이로 초점이 결정되기 때문에 촬영을 마치고 돌아와서 초점이 하나도 맞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습니다. 오리온자리를 촬영한 위 사진의 경우를 보면 현장에서는 별에 초점이 잘 맞은 줄 알았습니다만 돌아와서 확인해 보니 지상의 물체에 초점이 맞은 경우입니다.. 2018. 6. 3.
[2018년 5월 21일] 소니 A7III 카메라와 달 촬영 2018-05-21 21:36 (KST) Yeoksam-dong, Gangnam-gu, Seoul, South Korea Seeing : 4/10, Transparency : 6/10 Vixen VMC110L, Vixen PortaⅡ Alt-Az Mount, Sony A7M3 1 x 1/250sec @ ISO-1250 (WB: Daylight), Photoshop CS3 Moon Info. : Age: 6.6 days, Phase: 42.6%, Alt: 45.5° Az: 250.5° 정말 오랜만에 달을 촬영했습니다. 이게 몇 년 만인지... 퇴근하면서 올려다본 달은 벌써 서쪽으로 기울고 있었기 때문에 서둘러서 옥상으로 망원경을 들고 올라갔습니다. 하지만 경통 냉각 때문에 망원경을 설치해 놓고 옥상에서 3.. 2018. 5. 21.
[2018년 5월 18일] 양평의 전갈자리와 안타레스 전갈자리 안타레스 주변 2018-05-18 23:03 (KST) @ Yangpyeong-gun, Gyeonggi-do, South Korea Samyang 135mm F/2.0 ED UMC, Canon EOS 600D, Vixen Polarie Kenko PRO1D Pro Softon-A(W)1 x 60sec @ ISO800, F/4.0, Photoshop CS3 이틀째 계속 내리던 비가 그치고 구름이 가득한 하늘이었지만 밤부터 갠다는 기상청의 일기 예보만 믿고 퇴근후에 양평으로 출발을 했습니다. 교통 체증이 심해서 서울을 빠져나가는데 꽤 많은 시간을 허비해야 했지만 외곽으로 빠져 나와서 하늘을 올려다 보니 예보대로 정말 구름이 걷히고 있었습니다. 비가 오면서 먼지도 씻어 갔는지 투명도는 정말 좋더군요... 2018. 5. 19.
[2018년 2월 16일] 철원의 밤하늘 2018년 2월 16일은 정말 추운 설날이었습니다. 모두 가족과 함께 명절을 보내고 있을 시간에 저는 후배랑 둘이 날이 맑다는 이유 하나로 철원으로 별을 보러 갔습니다. 원래 이 후배 녀석과 하는 일은 항상 계획 없이 즉흥적으로 벌이는 일들이 많은지라 이번에도 촬영 대상이나 준비 같은 건 하지도 않은 채 추위와 결로(結露)에 대한 준비만 간단히 해서 철원의 노동당사 앞에서 만나기로 하고는 초저녁에 각자 길을 나섰습니다. 설 연휴라 차가 많을까 걱정했는데 모두 명절이라 서울을 떠났는지 텅 빈 서울을 벗어나 철원으로 가는 길은 한산하기 그지 없었습니다. 가는 동안 차를 잠깐 세우고 하늘을 올려다보니 말 그대로 별이 쏟아지더군요. 얼굴이 금방이라도 얼듯이 얼얼할 정도로 추웠지만 쏟아지는 별을 보니 추위는 잊은.. 2018. 2. 17.
[2015년 10월 19일] 펠리컨 케이스(Pelican case) 오래 정들었던 논현동을 떠나게 되었습니다. 먹을만한 음식점 하나 없는 동네지만 그래도 정이 들었는데 떠나려니 조금... 아주 쪼금 서운하네요.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새로 옮기는 곳은 건물의 진동이 심해 옥상에서의 관측은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사용하던 논현동 건물의 옥상은 높은 펜스가 둘러져있어 주변의 잡광(雜光)도 막아주고 바람도 어느 정도 막아주어 관측하기엔 정말 좋은 장소였습니다. 서울에서, 그것도 강남에서 이 정도 관측 장소는 찾기 힘들겠다 싶을 정도였습니다. 집도 5분 거리라 휴일에도 언제든 편하게 행성을 촬영할 수 있었는데 정말 아쉽습니다. 무거운 장비를 싣고 관측지로 이동해서 관측을 할 정도의 체력은 안되니 자연스레 관측과 촬영 횟수가 줄어들 것이라 생각되어 보유한 장비를 모두 처.. 2015. 10. 19.
[2015년 10월 16일] 철원 원정과 첫 일주사진 높고 푸른 가을 하늘에 구름 한 점 없는 날이 이어지고 있었습니다. 시상(Seeing) 예보도 최고였지만 행성 시즌은 아직 몇 달 더 있어야 하니 아쉽기만 하네요. 행성 촬영 말고는 할 줄아는 게 없어서 제가 할 수 있는 건 행성 시즌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게 전부였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후배에게서 날씨도 좋은데 철원으로 별빛이나 쐬러 가지 않겠냐는 연락이 왔습니다. 미리 봐둔 관측 장소가 있는데 같이 가자는 거였지요. 무거운 장비를 들고 이동하는 건 내키지 않아 삼각대와 카메라만 들고 따라나섰습니다. 정말 아무 생각도 준비도 없이 말이죠... 금요일이라 정체가 심해서 저녁 9시가 넘어 출발을 했는데도 차가 많은데다 목적지인 철원읍 까지는 거리가 112km로 생각보다 거리가 멀었습니다. 하지만 별을 실컷.. 2015. 10. 19.
[2015년 9월 3일] 일본의 천문잡지 천문 가이드(天文ガイド) 91년도 대학 신입생 시절... 하라는 공부는 안 하고 6인치 반사 망원경을 자작(自作) 해 보겠다고 열심히 들락거리던 "선두과학사"에서 처음으로 "천문 가이드"(天文ガイド)라는 일본 잡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국내에는 없는 천문학 잡지가 부럽기도 했고 실려있는 아름다운 사진이 좋아서 읽지도 못하는 일본 잡지를 매달 선두과학사에서 구매해서 열심히 들여다보던 시절이 떠오릅니다... 두둥... 기억에서는 까맣게 지워져 버려 그런 잡지가 있었나 싶을 정도였는데, 어느 날 자주 들르던 일본의 아마추어 천문인 블로그에서 천문 가이드(天文ガイド) 발행일(매월 5일)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기다리시는 걸 보니까 갑자기 기억이 확~ 떠오르는 겁니다. 추억이 새록새록... 아직도 나오나 싶어서 검색을 해 보니 여전히 발행되.. 2015. 9. 3.
[2015년 8월 14일] ASI224MC로 첫 토성 촬영 KST : 2015-08-14 20:45:18 UTC : 2015-08-14 11:45:18 Location : Nonhyun-dong, Gangnam-gu, Seoul, South Korea Seeing : 3/10, Transparency : 8/10 Telescope : Celestron C8 (8" SCT), Mounts : Takahashi EM-11 Temma2 jr. L: ZWO ASI120MM + Astronomik IR 642 BP (ROI=640x480, 120sec, Exp=94ms, FPS=11, Gain=70, Gamma=50) RGB: ZWO ASI224MC + Astronomik IR 642 BP (ROI=640x480, 120sec, Exp=65ms, FPS=15, Gain=.. 2015. 8. 17.
[2015년 8월 10일] 토성 KST : 2015-08-10 21:04:23 (UTC : 2015-08-10 12:04:23) Location : Nonhyun-dong, Gangnam-gu, Seoul, South Korea Seeing : 2/10, Transparency : 5/10 Telescope : Celestron C8 (8" SCT) Mounts : Takahashi EM-11 Temma2 jr. IR: ZWO ASI120MM + Astronomik IR 642 BP (ROI=640x480, 120sec, Exp=94ms, FPS=11, Gain=70, Gamma=50) Accessories : Baader 2x Abbe-Barlow Composite focal length : 5000mm (F/24.6) Other :.. 2015. 8. 12.
[2015년 7월 27일] 새로운 SharpCap v2.6.1650 공개 그동안 동영상 캡처 프로그램으로 사용하던 SharpCap이 새로 구매한 ASI224MC를 지원하지 못 했습니다. 아마도 ZWO社의 SDK 지원이 늦어진 탓이 아닐까 싶습니다. 아쉬운 대로 테스트에는 FireCapture를 사용했었는데요. 몇 시간 전에 SharpCap의 새로운 2.6 버전이 공개됐습니다. 지난 2.5 버전과 비교해도 크게 달라진 모습은 아닙니다만, 우측의 컨트롤 패널이 좀 더 사용하기 쉽게 변경되었습니다. ASI224MC 카메라가 도착하자마자 저도 SDK를 다운로드해서 테스트를 했지만 정상 동작하지 않아 문의도 하고 했었는데요. 새로운 1.10.0.5 버전의 SDK가 공개되면서 모두 정상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예전에 한동안은 FireCapture를 사용했었지만 가끔 촬영된 동영상.. 2015. 7. 27.
[2015년 7월 23일] ASI224MC 카메라 테스트 결과 수정 며칠 전에 "ASI224MC 카메라 테스트"라는 글을 올렸었습니다. 새로 구매한 ASI224MC 카메라를 실내에서 테스트했던 과정과 결과를 정리한 글이었는데요. 테스트의 정확도를 논할 수준은 아니지만 결괏값에서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이 하나 있었습니다. 바로 표준 편차(Standard deviation) 그래프입니다. 위의 그래프가 며칠 전의 데이터로 그린 표준 편차 그래프입니다. Gain 단계별로 촬영한 이미지의 표준 편차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이 중에서 붉은색 곡선은 표준 편찻값들의 근사(近似) 곡선입니다. 이 그래프를 보면 Gain 200과 500일 때의 표준 편차는 값이 일정하지 않고 튀는 느낌입니다. 이 부분이 계속 마음에 걸렸던 겁니다. SONY가 이렇게 아름답지 못한 곡선을 나타내는 이미.. 2015. 7.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