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56

[2020년 2월 21일] 새로운 지름 Canon EOS Ra 뜬금없는 충동구매를 했습니다. 다음 카메라는 '냉각 모노 CMOS 카메라'를 구매할 생각이었는데, 갑자기 계획에 없던 새로 발매된 Canon EOS Ra 천체사진 전용 카메라를 불쑥 질렀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필터 개조를 한 EOS 6D Mark II 카메라와 포지션이 겹치는데도 구매한 이유는 간단합니다. 궁금해서요 ^^;;; 단순 호기심이 아니라 일반 카메라의 LPF를 강제로 제거한 카메라와 처음부터 천체 전용으로 설정되어 나온 카메라의 차이가 정말 궁금했습니다. 과거 Nikon에서도 D810A라는 천체 전용 카메라를 발매했었지만 구하기도 힘든 데다 가격도 너무 비싸서 호기심으로 구매하기엔 무리였습니다. 그럴 바엔 정말 냉각 CMOS를 구매하는 것이 100배 옳은 결정이었죠. 하지만 이번에 발매한 캐.. 2020. 2. 22.
[2020년 2월 6일] 도심에서 촬영한 M42 - 오리온 대성운 2020-02-06 00:30(KST) @ Yeoksam-dong, Seoul, South Korea Takahashi FSQ-85EDP + QE 0.73x, Canon EOS 6D Mark II (modded), RainbowAstro RST-150H Baader H-Alpha 3.5nm Takahashi GT-40(240mm F/6.0), ZWO ASI290MM Mini, ASIAIR 10x30sec @ ISO-1600, F/3.9, DSS 4.1.1, Photoshop CC 2020 오토가이드 테스트를 하면서 촬영했던 M42입니다. 30초 노출로 총 10장을 합성했으니까 전체 노출 시간은 5분입니다. 워낙 밝은 대상이라 5분이라도 하늘이 좋다면 세부가 꽤 잘 나왔을 텐데, 밝은 도심 한 복판에서는 .. 2020. 2. 8.
[2020년 2월 6일] 서울에서 가이드 테스트 봄 같던 날씨가 갑자기 추워지면서 덩달아 하늘도 맑아졌습니다. 정말 오랜만에 보는 청명한 겨울 하늘이었습니다. 문제는 이 맑은 하늘이 금요일에는 구름으로 덮인다는 거... 오랜만에 보는 맑은 날을 그냥 보낼 수가 없어서 당장이라도 조경철 천문대로 달려가고 싶었지만 평일에 가자니 다음날이 걱정이고, 하루 휴가 내고 다녀오자니 쓸데없이 바쁜 일들이 줄 줄이라 파란 하늘만 올려다볼 뿐이었습니다. 새로 들인 가이드 망원경을 붙여서 다양하게 설정을 바꿔가며 동그란 별상이 나오는 최적의 값을 찾아보고 싶은데 항상 시간이 문제네요. 왜 꼭 주말에는 구름이 끼는 건지... 하지만 곰곰이 생각을 해보니 가이드 테스트만 할 거면 굳이 멀리까지 갈 필요가 있을까 싶더군요. 서울에서도 H-Alpha 필터를 쓰면 가이드 테스트.. 2020. 2. 8.
[2020년 2월 1일] STC Duo-Narrowband Filter 홍콩의 외눈박이 상점에서 'STC Duo-Narrowband Filter'를 주문한 것이 작년 12월인데, 한 달이 지나도 보낼 생각을 안 하길래 '왜 안보내냐 취소하겠다'라고 메일을 보냈더니 그날 발송을 하더군요. (메일 안 보냈으면 발송 안 했을 듯...) 처음엔 홍콩 사태 때문에 그런가 싶어서 기다렸었는데, 이곳에서 구매한 분들의 얘기를 들어보니 원래 가게 주인이 자기 마음대로 한다네요. 보내고 싶을 때 보내는... (대박...) 그렇게 한 달 하고도 2주가 지난 후에 STC Duo-Narrowband Filter가 드디어 도착했습니다. 이 필터는 H-Alpha (656.3nm)와 O-III (500.7nm) 두 주요 영역을 10nm로 통과시키는 협대역 필터로 월령이 안 좋을 때도 사용할 수 있다는.. 2020. 2. 2.
[2020년 1월 24일] Takahashi GT-40 Guide scope Baader Vario finder의 연장통 지옥과 허접함에 충격받아 고민 고민하다가 다카하시(Takahashi) 가이드 망원경 GT-40을 구매했습니다. 지름은 정말 끝이 없네요. 지름의 끝은 삶의 끝이랄까... 색깔 정말 촌스럽습니다. 예전의 다카하시 블루였던가요? 그 색이 훨씬 고급집니다. 어떻게 남색(藍色, Dark blue)을 칠할 생각을 했을까요. 요즘 다카하시 제품의 색상은 점점 안드로메다로 가는 느낌입니다. 가이드 망원경의 사양은 구경 40mm에 초점거리 240mm(F/6.0)입니다. 가이드 망원경의 성능이야 거기서 거기일 테고 특별한 것보다는 가볍고 Arca swiss 플레이트에 올릴 수 있도록 1/4인치 탭이 있는 가이드 망원경을 찾다 보니 정말 손에 꼽을 정도였습니다. 그중의 하나가 .. 2020. 1. 26.
[2020년 1월 20일] Back focus용 어댑터 제작 별 사진을 찍다 보면 자잘한 어댑터들이 많이 필요합니다. 카메라 연결 어댑터, 보정 렌즈 연결 또는 변환 어댑터 등등 종류도 다양하죠. 문제는 표준이 없고 망원경 제조사마다 자신들의 기준으로 만들다 보니 몇몇 종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호환이 전혀 안됩니다. 불편한 것은 소비자의 몫이죠. 만약 경통과 카메라 사이에 Reducer나 Field Flattener 같은 보정 렌즈를 사용한다면 더 복잡해집니다. 이런 보정 렌즈들의 경우 '보정 렌즈의 끝에서 카메라의 센서면까지의 거리'를 보정 렌즈에서 정한 거리로 맞춰야 하는데, 이 거리를 Metal back distance 혹은 Back focus라고 부릅니다. 복잡하죠? 이 거리를 정확하게 맞추지 않으면 주변 상이 심하게 왜곡되기 때문에 별 사진을 찍는 분들은.. 2020. 1. 20.
[2020년 1월 4일] 2020년 새해 첫 촬영기 2020년 새해가 밝고 맞는 첫 주말. 날씨가 맑다는 예보였지만 문제는 전날 내린 눈이었습니다. 해발 1010m에 위치한 조경철 천문대의 진입로는 비포장 도로가 섞여 있는 데다, 경사가 심해서 눈이 조금만 와도 진입을 할 수가 없습니다. (날이 맑아도 올라갈 수 없는...) 그래서 홈페이지를 통해 도로 상황을 안내해주고 있습니다. 이날 낮까지만 해도 도로 상황은 '진입금지'로 나와 있어서 다른 관측지로 가야 하나 고민을 하고 있었는데, 오후 늦게 다시 확인해 보니 다행히 '진입 가능'으로 변경이 되었더군요. (유후~!) 부랴부랴 짐을 챙겨서 초저녁에 조경철 천문대로 출발을 했습니다. 가는 길이야 항상 비슷하니까 특별할 것은 없습니다만, 이날은 금요일인데도 차가 많지 않아 예상보다 조금 더 일찍 천문대에 .. 2020. 1. 7.
[2020년 1월 4일] ASIAIR를 이용한 2020년 첫 촬영(NGC 2237) 2020-01-04 02:13(KST) @ Hwacheon-gun, Gangwon-do, South Korea Takahashi FSQ-106ED + QE 0.73x, Canon EOS 6D Mark II (modded), RainbowAstro RST-150H Baader H-Alpha 3.5nm Kowa LM100JC(100mm F/2.8) C-Mount lens, ZWO ASI290MM Mini, ASIAIR PHD2 30x2min @ ISO-3200, F/3.7, DSS 4.1.1, Photoshop CC 2020 2020년 첫 촬영 대상은 장미성운(NGC 2237 Rosette nebula)입니다. 장미성운은 제가 촬영했던 단일 대상으로는 가장 많이 촬영한 대상이네요. 사실 다른 대상을 촬영할 .. 2020. 1. 7.
[2020년 1월 3일] 2020년 첫 포스팅! 몇 번 눈 감았다 뜨니까 1년이 휙~ 지나갔네요. 제 블로그를 방문해 주시는 모든 분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새해 첫 주말이 날씨가 좋아 보여 출사를 나가려고 했더니 조경철 천문대는 눈이 와서 출입이 통제되었네요 ㅠㅠ 오늘은 다른 곳으로 촬영을 가야 하나 봅니다. 어디로 가나 고민되네요... 처음이지만 철원으로 갈지... 아니면 홍천으로 갈지... 2020. 1. 3.
[2019년 12월 30일] ZWO ASIAIR 출격 준비 ASIAIR는 중국의 천체용 카메라 생산업체인 ZWO社에서 만든 천체사진 통합 지원 S/W 이자 H/W입니다.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라는 친숙한 소형 리눅스 머신에 카메라, 마운트 등을 제어하고 오토 가이더는 물론 극축 설정 기능까지 다양한 기능을 통합한 프로그램을 탑재한 것으로 정확히 말하면 S/W지만 이 S/W만 따로 판매를 하지 않으니 H/W라고 불러도 무방할 거 같습니다. 뭐라고 부르던 이 ASIAIR는 위의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천체사진 촬영에 필요한 모든 주변 기기를 연결해서 통합 관리해 주고 촬영 계획을 수립하면 자동으로 촬영을 하는 것은 물론 마운트와 연결하여 Plate solve를 통해 정확한 GOTO를 지원하는 등 기능도 아주 많습니다. USB 포트에 주변 기기를 모두 연.. 2019. 12. 30.
[2019년 12월 27일] 2019년 마지막 출사 FSQ-106ED가 돌아오자 무리해서 또 촬영을 다녀왔습니다. 최근 너무 달렸는지 이젠 힘드네요 ㅎㅎ 밤늦은 시간에는 구름 예보였지만 ASIAIR의 가이드 테스트와 경통 테스트를 하고 싶은 마음에 무리해서 출발! 신나게 달려 도착한 광덕산 중턱에서 잠시 차에서 내려 하늘을 올려다보니 별이 쏟아집니다. '역시! 기상청이 또 틀릴 줄 알았어!!' 이럴 때는 좀 틀려도 좋죠. 조경철 천문대에 도착해 보니 일반인 관람 시간이라 관측실이 열려있고 사람들이 좀 있는 듯 보이더군요. 촬영하시는 분들도 2분 정도 보이고요. 도착하자마자 딴청 안 부리고 후다닥 장비를 설치합니다. 속 썩이던 PoleMaster는 케이블을 꽉 체결하니 문제없이 통과 순식간에 극축도 설정. 시간이 없어서 1 Star Align만 합니다. 대.. 2019. 12. 28.
[2019년 12월 26일] 다카하시 FSQ-106ED 점검 완료 10월 말에 일본으로 점검을 보냈으니 정말 딱 2달 만에 돌아왔습니다. 그동안 일본에서 잘 먹였는지 무게가 늘은 거 같은 건 기분 탓이겠죠? FSQ-85EDP를 사용하다 이 뚱뚱한 녀석을 들어 올리려니 허리가 휩니다. 일본에 보내고 일주일 쯤 지났을 때 다카하시 본사에서 점검 예약이 많아 4주 뒤에 차례가 돌아온다는 연락을 받고도 한 참을 기다려서 점검이 완료되었다는 안내를 받았습니다. 점검을 꼼꼼하게 해서 그런 건지 수리가 많은 건지 그것도 아니면 한 명이 모든 수리를 하고 있는 건지... 정확한 내용은 모르겠지만 한국 사람에게는 정말 속이 터질 것처럼 답답한 기나긴 A/S 기간이었습니다. 처음부터 꼼꼼하게 조립했으면 서로 편했을 것을... 어쨌든 점검은 잘 끝나서 렌즈 상태는 새것과 같은 상태가 되어.. 2019. 12. 27.
2019년 크리스마스 이브의 촬영기 외부에서의 업무 약속이 생각보다 빨리 끝나는 바람에 새벽에 구름이 몰려올 예보였지만 저녁도 거르고 바로 조경철 천문대로 출발했습니다. 이날은 촬영도 해야 하지만 테스트할 것들도 많아서 어떻게든 시간을 줄여 볼 생각이었는데 역시 크리스마스이브... 차가 어찌나 많은지 강남을 빠져나와 올림픽대로에 오르는데 까지만 한 시간이 넘게 걸렸습니다... 올림픽대로도 좀 뚫리는가 싶더니 바로 정체... 이런 날은 마음을 비우는 게 좋겠죠. 어딜 가나 이럴 겁니다. 막히는 올림픽대로를 빠져나와 다시 강변북로를 거쳐 세종포천고속도로까지 오르니 벌써 저녁시간입니다. 천문대 도착 전까지 하나밖에 없는 휴게소인 '별내 휴게소'. 아무 준비 없이 짐만 싣고 출발한 상태라 가는 길에 보급품을 채우러 잠시 들렀습니다. 제일 중요한 .. 2019. 12. 27.
[2019년 12월 25일] NGC 2264 - Christmas Tree Cluster 2019-12-25 01:51(KST) @ Hwacheon-gun, Gangwon-do, South Korea Takahashi FSQ-85EDP + QE 0.73x, Canon EOS 6D Mark II (modded), RainbowAstro RST-150H Baader H-Alpha 3.5nm Kowa LM100JC(100mm F/2.8) C-Mount lens, Lacerta MGEN-II 6x10min @ ISO-3200, F/3.7, DSS 4.1.1, Photoshop CC 2020 크리스마스 전날 촬영을 나가면서 어떤 대상이 좋을까 생각하던 중 "크리스마스 트리 성단(Christmas Tree Cluster)"이 시즌에 딱 맞는 대상이다 싶었습니다. 달도 없으니까 초저녁에 RGB 촬영을 하.. 2019. 12. 26.
[2019년 12월 21일] IC 1805, IC 1848 - Heart and Soul nebula 2019-12-21 02:24(KST) @ Hwacheon-gun, Gangwon-do, South Korea Takahashi FSQ-85EDP + QE 0.73x, Canon EOS 6D Mark II (modded), RainbowAstro RST-150H Baader H-Alpha 3.5nm Kowa LM100JC(100mm F/2.8) C-Mount lens, Lacerta MGEN-II 13x10min @ ISO-3200, F/3.7, DSS 4.1.1, Photoshop CC 2020 한 달만의 촬영이었습니다. 딱 한 달만이라 월령도 지난번 촬영과 비슷하네요. 새벽에 달이 뜰 예정이라 이번엔 RGB 촬영 없이 H-Alpha 촬영만으로 하트 성운과 소울 성운을 한 화각에 담아봤습니다. 촬영하고.. 2019. 1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