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62

[2023년 2월 1일] 두 번째 Apple TV 갑자기 Apple TV의 전원이 들어오질 않았습니다. 2021년 12월에 구입해서 잘 사용하고 있었는데 말이죠. 이리저리 해보다가 방법이 없어서 서비스 신청을 하고 예상 수리비용을 보니까... 그냥 새로 사라는 얘기네요. 애플케어를 먹였어야 했는데 전자제품 고장 난 기억이 20년 동안 없어서 설마했는데... (기가 막히게 고장도 딱 1년 지나니까 나버렸....) 하필 고장이 나도 애플 제품이 나는 바람에 눈물을 머금고 신형으로 다시 구매했습니다. 신형 이름은 Apple TV 4K. 사실 이전 모델 이름은 기억이 안 나니까 그냥 Apple TV. 왼쪽이 고장 난 구형이고 오른쪽이 신형 Apple TV 4K입니다. 크기와 두께가 살짝 작아지고 얇아졌는데, 솔직히 구형이 더 고급스럽습니다. 신형은 뭔가 싼티가.. 2023. 2. 3.
[2023년 1월 30일] Epsilon - Extender 1.5x Epsilon-160ED(이하 E-160ED) 전용 익스텐더입니다. 작년 말에 주문하고 3개월 정도 지나서 받았는데, 지금 확인해 보니까 바로 배송해 준다고 되어있네요. 거의 소형 망원경 하나 가격의 익스텐더로 5군 7매 구성이라고 합니다. 렌즈가 많이 쓰였으니까 용서해 주는 걸로... 사실 E-160ED는 이 익스텐더 하나 바라보고 구매했던 것이었습니다. E-160ED는 기존의 FSQ-106EDP와 초점거리도 완벽하게 일치하는 경통이라 같은 화각의 경통을 또 구매하는 것 때문에 계속 망설여졌었는데, 초점거리를 1.5배 연장해 주는 익스텐더가 발매된다는 소식에 솔깃해서 일단 주문했던 거죠. 530mm f/3.3을 800mm f/5.0으로 변신시켜주는 익스텐더라 어둡고 작은 대상의 확대 촬영은 좀 아쉽겠지.. 2023. 1. 30.
[2023년 1월 27일] 장미성운 (Rosette Nebula, Caldwell 49) 추가 촬영 2022-12-29, 2023-01-27 강원도 철원 Takahashi Epsilon-160ED(f/3.3), RainbowAstro RST-135E Askar FMA135, ZWO ASI290MM Mini, ASIAIR Pro ASI6200MC 370x30sec, 240x60sec(gain 100, temp -10℃), 30 bias, 30 flat, no dark Pixinsight 1.8.9, BlurXTerminator, NoiseXTerminator 19.91 MPSAS, 온도 최저 -18.1°C, 습도 최대 59%RH ZTF 혜성이 올라오기를 기다리면서 장미성운을 추가로 촬영했습니다. 이날 촬영 목적은 혜성이었기에 달이 있거나 말거나 그대로 촬영해서는 모조리 합쳐버렸습니다. 그러고는 정작 새벽.. 2023. 1. 29.
[2023년 1월 28일] C/2022 E3 (ZTF) 혜성 2023-01-28 02:22(KST), 강원도 철원 Takahashi Epsilon-160ED(f/3.3), RainbowAstro RST-135E Askar FMA135, ZWO ASI290MM Mini, ASIAIR Pro ASI6200MC 40x120sec(gain 100, temp -10℃), 30 bias, 30 flat, no dark Pixinsight 1.8.9, StarXTerminator, BlurXTerminator, NoiseXTerminator 19.91 MPSAS, 온도 최저 -18.1°C, 습도 최대 59.0%RH 두 번 만에 촬영에 성공한 C/2022 E3 (ZTF) 혜성입니다. 지난 설 연휴에 처음 촬영을 했었는데 그땐 너무 대충 했는지 초점이 안 맞아서 폭망... 이번에.. 2023. 1. 29.
[2023년 1월 19일] Astro-Physics에서 온 뜻밖의 카드 갑자기 Astro-Physics에서 카드가 하나 왔습니다. 서명이 가득 들어있는 카드가 말이죠. 우편날짜도장을 보니 작년에 보낸 건데 이제 오다니... 오래 걸렸네요. 고맙다는 말 외에 별다른 내용이 없어서 좀 알아보니까... Astro-Physics에서는 매년 그 해에 제품을 구매한 모든 고객들에게 직원들이 하나하나 직접 서명한 감사 카드를 보내는 것이 전통이라고 하는군요. 망원경 제조사답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요즘 세상에 아직도 이런 아날로그스러운 전통을 이어간다는 것이 쉽지 않을 텐데... 그들의 고마움을 느낄 수 있어서 저는 아주 좋았습니다. ^^ 카드 받아 본 게 도대체 얼마 만인지... 자세히 보니 Roland 아저씨 서명도 있군요! 오래오래 건강하게 좋은 망원경 계속 만들어 주시길... 2023. 1. 20.
[2022년 12월 30일] 2022년 마지막 촬영 : 장미성운 (Rosette Nebula, Caldwell 49) 2022-12-29 20:50(KST), 강원도 철원 Takahashi Epsilon-160ED(f/3.3), RainbowAstro RST-135E Askar FMA135, ZWO ASI290MM Mini, ASIAIR Pro ASI6200MC 370x30sec(gain 100, temp -10℃), 30 bias, 30 flat, no dark Pixinsight 1.8.9, BlurXTerminator, NoiseXTerminator 19.85 MPSAS, 온도 최저 -15.4°C, 습도 최대 73.9%RH 2022년의 마지막 촬영으로 환한 상현달이 떠 있는 밤에 촬영을 다녀왔습니다. 올해 촬영을 나간 횟수를 세어보니 총 35회 출사를 나갔었더군요. 생각보다 열심히 촬영을 다녔습니다. ^^ 새해인 .. 2023. 1. 1.
[2022년 12월 29일] E-160ED 경통의 풀 프레임 센서 주변 별상 지난 12월 24일에 Epsilon-160ED(이하 E-160ED) 경통과 ZWO ASI6200MC Pro 풀 프레임 카메라로 촬영한 M45 플레이아데스성단의 원본 이미지를 이용해서 풀 프레임 센서의 주변 별상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먼저 확인에 사용한 원본 이미지입니다. 이날 촬영된 350장의 이미지 중 랜덤 하게 아무 이미지나 골라서 Debayer까지 처리하고 Pixinsight의 STF(Screen Transfer Function) Auto Stretch를 적용한 상태입니다. (업로드 용량 제한으로 리사이즈했습니다.) 이 이미지의 네 모서리 부분과 상하좌우, 그리고 중앙 부분을 640x480 픽셀 만큼씩 잘라내서 별상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중앙부는 물론이고 모든 주변부의 별상이 아주 동글동글한 모습을.. 2022. 12. 29.
[2022년 12월 24일] E-160ED 테스트(2) : M45 플레이아데스 성단 2022-12-24 20:29(KST), 강원도 철원 Takahashi Epsilon-160ED(f/3.3), RainbowAstro RST-135E Askar FMA135, ZWO ASI290MM Mini, ASIAIR Pro ASI6200MC 350x30sec(gain 100, temp -10℃), 30 bias, 30 flat, no dark Pixinsight 1.8.9, Photoshop CC 2023 20.04 MPSAS, 온도 최저 -17.3°C, 습도 최대 61.4%RH Epsilon-160ED 경통 테스트 두 번째. 이번에 촬영한 대상은 M45 플레이아데스(Messier 45, Pleiades) 성단입니다. 촬영된 별의 느낌을 보기 위해 일부러 별이 많이 모여있는 대상을 골라서 촬영을 했.. 2022. 12. 25.
[2022년 12월 22일] StarNet V2 vs StarXTerminator 두 번째 비교 올해 6월에 StarNet V2와 RC-Astro의 StarXTerminator를 비교해 봤었습니다. [2022년 6월 3일] StarNet V2 vs StarXTerminator 별만 골라서 분리해 주는 프로그램으로 StarNet++와 StarXTerminator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StarNet++은 V1, V2 모두 무료고 StarXTerminator는 유료($59.95)입니다. 이 제품들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Official page sbrngm.tistory.com 특별한 내용은 없고 단순 비교 정도였는데, 당시에는 유료인 StarXTerminator가 무료인 StarNet V2 보다 못한 성능을 보여줬었습니다. 돈 주고 사기 좀 아깝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그렇게 6개월의 시간이 지나.. 2022. 12. 22.
[2022년 12월 17일] E-160ED 첫 촬영 : M42 오리온 성운 2022-12-17 22:57(KST), 강원도 철원 Takahashi Epsilon-160ED(f/3.3), RainbowAstro RST-135E Askar FMA135, ZWO ASI290MM Mini, ASIAIR Pro ASI6200MC 180x30sec(gain 100, temp -10℃), 30 bias, 30 flat, no dark Pixinsight 1.8.9-1, Photoshop CC 2023 20.13 MPSAS, 온도 최저 -18.5°C, 습도 최대 30.6%RH 받은 지 한 달이 넘었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방치돼 있던 Epsilon-160ED 경통을 사용해서 첫 촬영을 했습니다. 총 촬영 시간이 짧아서 디테일은 많이 떨어지지만 E-160ED의 성능을 확인하기에는 충분한 거 같습.. 2022. 12. 20.
[2022년 11월 12일] 다카하시 Epsilon-160ED 도착! 드디어 노란 단무지 Takahashi Epsilon-160ED가 도착했습니다!!~ 작년 11월에 주문할 때 대기기간 1년 이상이라고 하더니 진짜 딱 1년 만에 도착했네요. (지금은 2년 반...) 1년이 다 돼 가는데 너무 얘기가 없어서 문의를 한 번 해야겠다 생각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Kyoei-Osaka에서 망원경이 준비됐으니까 결제하라는 메일이 똭!! 결제를 하려고 보니까 엔화 환율이 떨어져서 가격이 뚝!! 덕분에 관세만큼은 안되지만 많이 세이브할 수 있었습니다. ㅎ 1.5배 전용 익스텐더도 발매됐던데 품절이라 내년 1월에 보내준다네요. (좀 넉넉하게 만들지... -_-;;) 초점거리가 530mm로 정확하게 FSQ-106EDP와 겹치지만, FSQ-106EDP는 F3 리듀서를 달아서 318mm 전용으.. 2022. 11. 12.
[2022년 11월 11일] 캘리포니아 성운(California Nebula, NGC 1499) 2022-11-05 22:23(KST), 강원도 인제 WO RedCat51, RainbowAstro RST-135E Askar FMA135, ZWO ASI290MM Mini, ASIAIR Pro ASI6200MC+L-Ultimate 60x3min(gain 50, temp -10℃), 30 bias, 30 flat, no dark Pixinsight 1.8.9-1, Photoshop CC 2022 18.41 MPSAS, 온도 최저 -2.5°C, 습도 최대 62.5%RH, 달 90.9% Optolong의 새로운 듀얼밴드 필터 L-Ultimate 테스트를 위해 밝은 달이 떠 있던 지난 주말에 촬영을 다녀왔습니다. 달이 밝아 마땅한 대상이 없어서 캘리포니아 성운(NGC 1499)을 촬영했는데 필터 자체는 무난한.. 2022. 11. 11.
[2022년 10월 29일] NGC 7635 - Bubble Nebula GSO 8" RC+CCDT47(f/5.3), RainbowAstro RST-135E Askar M54 OAG, ZWO ASI174MM Mini, ASIAIR Pro 2022-10-25 20:40: ASI6200MC RGB 48x5min (gain 100, temp -10℃), 30 bias, 30 flat, no dark 2022-10-28 20:34: ASI6200MM Chroma L-filter 60x5min (gain 100, temp -10℃), 30 bias, 30 flat, no dark Pixinsight 1.8.9-1, Photoshop CC 2022 20.34 MPSAS, Temp 3.5°C(Min), Humidity 54%RH(Max) 카시오페이아자리의 거품 성운(Bubble Nebul.. 2022. 10. 29.
[2022년 10월 19일] M33 - 삼각형 자리 은하 오랜만의 평일 출사에서 촬영한 Messier 33(NGC 598, 삼각형자리 은하)입니다. 삼각형자리라고는 하지만 외곽 끝 부분에 위치해서 사실 물고기자리에 더 가깝게 있습니다. 이 M33은 국부 은하단에서 안드로메다 은하와 우리 은하 다음으로 세 번째로 큰 은하라고 하네요. 지구로부터 273만 광년 떨어져 있다고 하는데 안드로메다 은하(250만 광년) 보다 살짝(?) 멀리 있습니다. 그래서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천체 중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천체라고 합니다. (아주 어두운 곳에서 맨눈으로 보인답니다.) 평일 출사라 다음날 생각해서 조금 일찍 마무리를 하는 바람에 촬영 시간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밝은 대상이지만 이 정도 보이는 것에 만족해야 할 거 같습니다. 다음에 또 촬영해서 합치는 것도 생각해 봐야.. 2022. 10. 21.
[2022년 10월 21일] Optolong의 L-Ultimate Dual-3nm 필터 중국 Optolong社에서 새로 발매한 3nm 듀얼밴드 필터인 L-Ultimate입니다. L-eNhance, L-eXtreme에 이어 3번째 구매하는 Optolong 필터인데요. 전작들도 나쁘지 않았던 경험이 있어서 이번 L-Ultimate에도 잔뜩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듀얼밴드 필터란 필터는 종류별로 모두 사용해 봤지만 대부분 Halo가 심해서 손이 잘 안 갔습니다. 하지만 Antlia의 ALP-T 듀얼밴드 필터가 나오면서 Halo를 훌륭하게 억제해 주는 바람에 Mono 카메라는 창고에 넣어두고 Color 카메라만 사용하게 되었는데요. 문제는 ALP-T 필터의 색감이 노란색으로 치우친 붉은색 느낌이라 영~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Optolong의 L-eXtreme 필터는 아주 새빨간 색으로 .. 2022. 10. 21.